인간의 3대욕구? 성욕은 없다.txt
커뮤니티 등에서 질문하는 글,
혹은 개인 블로그에 쓰인 글 등에서
인간의 욕구 3가지를 드는 게 나오는데
이론적으로, 학문적으로 접근하는 글에서는
인간의 3대 욕구를 정의하고 있지 않더라고
인간의 욕구는 3가지가 아니라 매슬로우의 5단계로 나눈다거나
그외에도 필수적인 욕구는 많다는 반박 글들도 많이 보였어
--------------------------------------------------------------------
우선 인간의 기본적 욕구를
어떻게 정의하는 지를 검색해봤더니
인간이 가진 다양한 욕구를
그 욕구가 생기는 원인 혹은 욕구의 목적 등을 기준으로
다양하게 분류한 이론(혹은 정의)들이 있었어!
OECD에서는
Basic Human Needs(BHN, 인간의 기본적 욕구)라고 해서
경제개발 후 소득재분배 과정에서 빈곤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교육, 소농민 보호, 상하수도, 보건, 위생, 식량 등을 정의했어
중국에선 고자(맹자 시대 사람)가
성선설과 성악설을 부정하면서
인간의 본능은 성욕과 식욕이라고 정의했어
그러나 현대에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은
매슬로우의 이론이야
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는
인간의 욕구는 계층적으로 조직되어 있으며
하위 단계의 욕구 충적이 상위 단계의 욕구를 발현하기 위한 조건이 된다는 이론인데

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는 인간의 욕구는 이렇게 5가지 단계로 구성되어 있고
맨 아래, 가장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needs)를 보면
호흡, 음식, 물, 주거, 의복, 수면, 항상성, 배설, 성 등
자료마다 다양한 생리적 욕구의 예시를 열거하고 있는데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건 호흡, 음식, 물, 주거, 수면이었어
그리고 생리적 욕구에 성이 있으면서
애정과 공감의 욕구에 성적인 친밀감이 있기도 했고!
-------------------------------------------------------------
인간의 3대 욕구라는 말의
이론적 근거를 찾아보려고 했으나
검색결과 보통 사람들이 의미하는
생존에 필수적인 욕구
혹은
충족되지 않으면 안되는 욕구
라는 의미에서 3대 욕구를 정의한다면
거기에 성욕은 어울리지 않는 것 같지?
난 도대체 이론적 근거도 없는데
인간의 3대 욕구라는 말이 왜 나온건지
너무 궁금해서
외국에서는 근거가 되는 자료가 있을까 싶어서
구글링을 하기 시작했어
구글에서 영문으로
'human needs'
'human's basic needs'
'three human needs'
'fundamental human needs'
'human needs to survive'
등으로 검색해 봤을 때
위에 언급했던 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가 가장 많이 나오고
의식주를 꼽거나
과학적으로 인간이 생존하려면 필요한 조건들
(적당한 기온, 태양열, 미생물 등)
혹은 6가지로 나누는 등
(growth, uncertainty, connection, contribution, significance, certainty)
대부분은 인간적인 삶을 영유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꼽았고
정확히 three human needs가 포함된 글은
야후에 올라온, 인간에게 기본적으로 필요한 3가지가 뭐겠느냐는 질문글이었는데
딱 한 사람의 답변만 food, shelter, sex였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food, shelter, clothing을 꼽거나
clothing대신 education을 얘기한 사람이 있거나 하는 정도였음
인간의 3대 욕구라는 것이
영어사용 문화권과 영어를 공통언어로 사용하는 학계에서는
존재하지도 않을 뿐더러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로
성욕을 들지 않는 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어
그러면 왜 한국 사람들이 인간의 3대 욕구라는 이름으로
식욕, 수면욕, 성욕을 말하는 걸까?
여기서부터는 나의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인데
성욕을 참을 수 없는 것, 본능적인 것, 충족되어야 마땅한 것으로 정의해서
성욕의 추구를 정당화하려는 시도가 아닌가 싶어
성욕이 인간의 3대 욕구라는 주장은
성욕은 참을 수 없다는 주장과 함께
성범죄를 옹호하는 논리의 근거가 되고 있어
(주로) 남성들이 자신의 성욕을 과시하고
여성에 대해 성욕을 분출하는 것이
인간의 본능이기에 정당하다!
라고 논리를 만들어내는거지
여시들 중에도 3대 욕구가
식욕, 수면욕, 성욕이라고 알고있는 사람이 많은데
내 생각엔 이 주장이 아주 불순한 의도에서 만들어진 이야기인 것 같지만
내 생각이 틀렸더라도
전 세계적으로
1. 인간의 3대 욕구라는 이론은 없고
2. 인간의 생존의 필요 조건에 성생활이나 성욕이 언급되는 경우는 없으며
3. 인간의 생리적 욕구 중에서도 성욕이 우선시되지는 않는다는 걸
https://www.instiz.net/pt/3341651
Q. 인간의 3대 욕구는 식욕, 수면욕, 성욕이다? A. 아니다
아까 다른 쩌리 글 댓글에서조금 쌩뚱맞게 3대 욕구에 배설욕이나 성욕이냐로 내가 의문을 제기했고 몇몇 여시들이 의견을 달아줬는데누구에게서도 정확한 검색을 해봤지처음에 초록창과 다음
www.instiz.net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인간의 3대욕구는 일본에서 전래됨

인간에게 중요한 욕구란 무엇일까요? 라고 생각했을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 [3대욕구]아니셨나요?
일본에선 식욕•성욕•수면욕 이 세가지가 인간의 기본적 욕구로 유명합니다.
다만 3대욕구는 일본 특유의 표현이기도 합니다. 실제, 세계적으로는 [5대욕구]라고 하여 매슬로우의 [자기실현이론]과 기독교에서는 [7가지 욕구]로 [7가지 대죄]가 유명합니다.

앞서 언급했다시피 일본에서 유명한 3대욕구는 식욕•성욕•수면욕입니다.
성욕은 배설욕으로 바뀌기도 합니다.
이 세가지 욕구는 모든 동물이 생존하여 종을 존속시키기 위한 필요상의 욕구입니다. 그러므로 인간으로서의 욕구라기 보다 동물로서 기본적 욕구라고 말할수 있겠습니다.
또한 [3대욕구]라는 표현은 일본 독자적인 표현입니다.
3가지로 정리한 이유는 일본은 고대부터 [삼종의 신기]를 비롯하여 중요한 것을 세가지로 표현하는 습관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세가지 욕구만이 특별히 중요하다는 학술적 이론은 아닙니다.
https://swingroot.com/desire-needs/
三大欲求とは?人間の重要な欲求を八大欲求まで完全解説! - Web活用術。
日本では「食欲・性欲(排泄欲)・睡眠欲」の三大欲求が有名ですが、この欲求は日本独自の表現です。この記事では、二大欲求、もう一つの三大欲求、四大欲求、五大欲求、六大欲求、七
swingroot.com